2025/07/06 2

지역 설화의 무형문화재 보존 방식: 강원도와 경북의 콘텐츠화 사례

설화는 지역의 기억과 정체성을 품은 문화의 원형입니다설화는 오랜 세월을 거치며 구전되어 온 이야기로, 지역의 자연환경, 역사, 인간관계, 신앙 등을 압축적으로 담아낸 집단 기억의 보고입니다. 무형문화재로서의 설화는 문서로 기록된 고전문학과 달리 말과 몸을 통해 전승되어 온 생동하는 문화 자산이며, 구술자와 청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가 창출된다는 점에서 더 큰 사회적 의미를 지닙니다.특히 오늘날과 같이 디지털 문화가 급속히 확산하는 시대에는, 지역 설화를 단지 구술 형태로 보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콘텐츠로 변환하여 새로운 세대에게 흥미롭게 전달하는 작업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설화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제작과 활용에 주목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강원..

통 음식 무형문화재 보존 방식: 남도 vs 북부 지역의 접근 전략

통 음식은 전통문화의 미각이자 지역정체성의 상징입니다한국의 전통음식은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지역의 자연환경, 생활방식, 문화철학을 담아내는 복합적인 문화유산입니다. 그중에서도 통 음식은 조리 기법과 형태가 독특하여 보존과 전승의 가치가 매우 높은 무형문화재 분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통 음식이란 식재료를 통째로 활용하거나 속을 채워 조리하는 음식으로, 명절 음식, 제사 음식, 환갑·회갑 같은 의례 음식, 궁중 음식 등에서 많이 나타나는 형식입니다. 예를 들어 통돼지 수육, 통문어 찜, 통닭찜, 통배 속 찹쌀밥 등은 재료의 원형을 유지하면서 조리되는 전통음식으로서 형식미와 상징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 음식 전통은 각 지역의 기후, 풍토, 제사 관습 등에 따라 다르게 발전했으며, 특히 전라..